지난 2001년 문을 연 성남종합버스터미널입니다. <br /> <br />20년 넘게 성남시와 대도시, 중소도시를 잇는 관문 역할을 했지만, 이번 달(12월)을 마지막으로 문을 닫습니다. <br /> <br />터미널 곳곳에는 운영 업체의 폐업 안내문이 붙었습니다. <br /> <br />시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터미널을 운영해 왔지만, 수요와 매출 감소로 더는 버틸 수 없게 됐다는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하루 평균 7천 명 수준이던 승객이 코로나19 이후 절반으로 급감하면서, 민간 사업자가 운영을 포기한 겁니다. <br /> <br />갑작스러운 폐업 결정에 이용객들의 걱정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[김유복 / 터미널 이용객 : 자주 이용하다 보니까 편해졌어요. 오늘도 열차 타고 가라는데 제가 뿌리치고 버스 탔거든요. 앞으로 걱정은 됩니다.] <br /> <br />[최주희 / 터미널 이용객 : 병원 때문에 2주에 한 번, 한 달에 한 번 이용하고 있어요. 사라지면 대중교통 말고 차로 다녀야 하니깐 많이 부담스럽고 불편할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여러 해 동안 버스 터미널에서 삶의 터전을 일궈온 상인들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[이은선 / 터미널 상인 : 시민들이 터미널 안쪽으로 들어올 이유가 전혀 없겠죠. 걱정하시는 분들도 많고, 가게를 정리하고 나가겠다는 분들도 많고….] <br /> <br />경기 고양시 화정동 시외버스터미널도 사정은 마찬가지. <br /> <br />이용객은 줄어들고 그에 따라 경영난도 점점 심해지면서, 터미널 운영 업체는 얼마 전 지자체에 폐업 의사를 전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예전엔 인구가 적은 비수도권에서 주로 발생하던 버스터미널 폐업이 최근 들어 수도권에서도 심심찮게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유행 이후 고속버스보다는 자차를 선호하는 사람이 많아진 데다, 고속철도 등 새로운 대체 교통수단이 자리 잡은 탓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도,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과 촘촘한 노선 등 장점도 많아 버스터미널을 찾는 시민이 여전한 만큼, 지자체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이철기 / 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 : 지자체에서 인수를 하는 방법이 제일 좋은데 쉬운 일이 아닐 겁니다. 운영비를 지자체가 보조해주고, 지원해주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게….] <br /> <br />현행법도 버스 터미널을 운영하려는 사업자가 없을 때 지자체가 직접 운영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지자체로선, 부지 매입과 운영비 등 막대한 돈이 드는 터미널 운영을 도맡는 게 꽤 부담스럽습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, 성남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122709390011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